아래의 두 영상을 보고 느낀점을 적는다.
첫번째 영상 '엔비디아 GPU 쓰느라 허리가 휘어져요' 에서 핵심 로직은 한국에서 만들고 그외 나머지는 외주를 준다고 한다. 외주는 인도네시아에서 진행되고 한국 신입 연봉에 인도네시아 중급 개발자 3-4명을 고용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말을 어떻게 해석했냐면, 저 회사에서는 FE개발자가 그렇게 중요한 역할이 아니라고 생각들었고 많은 회사들도 이럴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한국에서 FE 개발자의 자리는 더더욱 없어질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사장이라도 한국 개발자 고용안할거 같다.
두번째 영상 '혼자만 hwp. 한국은 AI 시대 하나도 준비 안돼 있습니다 (한빛미디어 박태웅 의장)' 에서는 게임회사에서 디자이너 30% 해고시켰다고 하는데 이것도 적게 해고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10년차 개발자들에게 AI를 가르친 후 생산성을 극대화시켜 연봉을 2배주고 같이 일하던 후배들은 정리 해고 시킬 수도 있다고 말한다.
나는 FE개발자 이기에 더욱더 내 밥줄에 대해 민감하게 받아드려 졌다.
이제 곧 내 자리가 좁아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기에 나도 준비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개발은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소양으로 되고 기획자 + 디자이너가 AI Agent 가지고 개발할 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AI를 잘하는 FE 개발자가 되어서 좁은 시장에서 살아남을 것인지, 아니면 회사 내에서 핵심 로직을 개발하는 사람이 될지를...
https://www.youtube.com/watch?v=NLRmkgqLVSw
https://www.youtube.com/watch?v=h2YvTnGQ9Bk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료 별 pH 지수 비교 및 ph 지수에 따른 인체 영향 (0) | 2025.01.07 |
---|---|
[영화 후기] 열정같은소리하고있네 (0) | 2024.11.17 |
구매한다는 건? (1) | 2024.07.23 |
앞으로 개발자는 어떻게 일해야 할것인가? (0) | 2024.04.09 |
테슬라 - 모델 Y Rwd - 인도 절차 정리 (0) | 2023.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