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33 #2 나만 헷갈렸나? Jackpot Compose 공부 중 메모들 재구성기본값이 있는데 굳이 Modifier 인수를 전달해야 하는지 의문이 드실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컴포저블이 재구성을 거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재구성이란 기본적으로 @Composable 메서드의 코드 블록이 다시 실행된다는 의미입니다. Modifier 객체가 코드 블록에서 만들어지면 다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는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Hello() 전체가 재구성되고, 그 안에 있는 DiceWithButtonAndImage()도 함께 재구성됩니다. @Composablefun Hello() { var count by remember { mutableStateOf(0) } Column { DiceWithButtonAndImage(modifier = Modifie.. 2025. 5. 15. #1 나만 헷갈렸나? Jackpot Compose 공부 중 메모들 Surface배경 색상이나 테두리와 같은 모양을 개발자가 변경할 수 있는 UI 섹션을 나타내는 컨테이너입니다. 기본 레이아웃1. Column & Row ColumnverticalArrangement 및 horizontalAlignment 설정 Row horizontalArrangement 및 verticalAlignment 설정 Arrangement vs Alignment 구분 Arrangement Alignment 의미간격을 조절 (여러 개 아이템 간의 위치)정렬을 조절 (축 기준으로 어디에 붙일지)적용 대상여러 개의 아이템들 사이각 아이템의 정렬 방향 BoxBox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요소를 서로 위에 쌓습니다. Box 레이아웃을 사용하면 포함된 요소의 특정 정렬도 구성할 수 있습니다.예) 이미지.. 2025. 5. 14. #10 웹 서비스와 공인인증서 프롤로그이 페이지는 지금까지 배운 암호기술들이 실제로 웹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그리고 우리가 자주 마주하는 공인인증서와 브라우저의 자물쇠 아이콘이 의미하는 바를 완전히 외울 수 있도록 마무리해드립니다. 이 사이트, 진짜 믿어도 될까?우리가 매일 보는 https와 자물쇠 인터넷을 쓸 때 이런 걸 자주 봅니다주소창에 자물쇠 표시주소가 `https://`로 시작인증서 정보 보기 버튼이건 단순한 장식이 아닙니다. > 이 사이트가 진짜 주인 것이 맞고 > 안전하게 통신 중이라는 걸 브라우저가 보장하고 있는 것 웹에서의 전체 흐름 정리사용자가 브라우저로 `https://example.com` 접속서버는 인증서(공개키 포함)를 보냄브라우저가 CA 서명을 검증검증되면 → 공개키로 대칭키 전달이후는 대칭키로 안전하게 통.. 2025. 5. 10. #9 공개키를 믿을 수 있을까? 프롤로그이번 장은 이 공개키를 믿을 수 있을까? 라는 의심에 대한 답을 주는 시스템인 PKI(Public Key Infrastructure)와 인증서 체계를 외우기 쉽게 구성했습니다. 비대칭키의 가장 큰 문제신원 확인 앞에서 봤듯이, 비대칭키 자체는 암호화는 잘하지만 "이 공개키가 진짜 누구 건지"는 알려주지 못합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 공개키를 보증해주는 시스템 = 인증서 체계 인증서란? 인증서(Certificate)는 이런 정보를 담은 문서입니다.이 공개키는 누구의 것인지 (신원 정보)언제부터 언제까지 유효한지누가 이걸 보증했는지 (디지털 서명 포함)즉, 이 공개키는 진짜 아무개씨 것이며, 내가 보증합니다 라고 제3자(CA)가 도장 찍은 문서 인증서는 누가 만들까?CA (Certi.. 2025. 5. 10. #8 비대칭키의 문제점 프롤로그“완벽할 줄 알았는데… 이게 무슨일이지? 비대칭키는 정말 완벽할까?비대칭키는 공개키/개인키를 나눠 쓰면서 보안성을 높인 구조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쓰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존재합니다. 문제점 ① 공개키가 진짜 그 사람 것인지 알 수 없다A가 B에게 메시지를 보내려는데, 인터넷 어딘가에서 B의 공개키를 받음그런데 이 공개키가 진짜 B의 것인지 보장할 수 없음📌 이것이 가장 근본적인 문제입니다 → “공개키를 믿을 수 있는가?” 예: 중간자 공격 (MITM, Man-In-The-Middle)A는 B에게 공개키 요청공격자가 B인 척 가짜 공개키를 줌A는 그걸 믿고 민감한 정보를 암호화공격자는 그걸 복호화해서 몰래 엿봄💥 결과적으로, 비대칭키만으로는 공개키 위조를 막을 수 없음 문제점 ② 계산.. 2025. 5. 10. #7 효율 극대화를 위한 대칭키 + 비대칭키 활용 빠르고 안전하게 둘 다 쓰면 되지! 대칭키 + 비대칭키 활용 혼합 활용 왜?방식장점단점대칭키빠름, 단순 키 전달이 어렵다비대칭키키 공유는 안전함느림, 계산 복잡 💡 그래서 실전에서는 보통 비대칭키로 대칭키를 전달하고 대칭키로 실제 데이터를 암호화 혼합 방식 = 하이브리드 암호 시스템 구조 요약1단계: 대칭키 생성A(보내는 쪽)는 메시지를 안전하게 보낼 준비를 합니다.먼저, 임의의 대칭키(예: AES 키)를 생성합니다.예: s3cr3tK3y! 이 키는 실제로 메시지를 암호화할 때 쓸 키입니다.2단계: 수신자의 공개키로 대칭키 암호화A는 이 대칭키(s3cr3tK3y!)를 B의 공개키로 암호화합니다.이 암호화된 키는 B의 개인키 없이는 절대 풀 수 없습니다.결과: Encrypted(s3cr3tK3y!, B.. 2025. 5. 10. 이전 1 2 3 4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