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아기 애착 형성의 중요성과 유형별 특징

by 내일은교양왕 2025. 6. 23.

영아기의 돌봄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 중 하나는 바로 애착(Attachment)입니다. 애착은 주 양육자와 형성하는 정서적 유대감을 의미하며, 이는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입니다. 생후 첫 1년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애착은 이후 아이의 정서와 사회성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애착의 형성과 특징

애착은 단순히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아이는 특정 인물에게 정서적 친밀감을 보이며(특정성), 이 관계는 오랜 시간 지속됩니다(지속성). 보통 생후 8~9개월경, 자신이 선호하는 양육자에게 애착 행동을 보이며(개체발생), 일상 속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구조화됩니다.

 

애착 유형의 네 가지 패턴

심리학자 메리 에인스워스(Ainsworth)와 위티그(Wittig)가 실시한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해 애착은 다음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불안정-회피 애착 (A형) 아기는 어머니가 방을 나가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재결합 시에도 무시하거나 마지못해 반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모가 아이를 무의식적으로 거부하거나,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경우 이런 형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정 애착 (B형) 아기는 양육자와 함께 있을 때 자유롭게 주변을 탐색하고, 양육자와의 분리 시 적절한 불안을 느끼며, 다시 만났을 때 반가워하고 쉽게 달래집니다. 이는 부모가 아이의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아이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경우에 형성됩니다.
불안정-저항 애착 (C형) 아기는 항상 어머니 옆에 있으려 하며 탐색을 하지 못하고, 재결합 시에도 쉽게 안정되지 못하며 화를 내거나 저항하는 행동을 보입니다. 이는 부모가 일관되지 않거나 부적절하게 반응할 때 형성될 가능성이 큽니다.
불안정-비조직 애착 (D형) 가장 불안정한 유형으로, 아기는 재결합 시 혼란스럽고 공포에 가까운 반응을 보입니다. 종종 학대나 방임, 정서적 무시를 경험한 아이에게서 나타납니다.

 

애착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민감하고 일관된 반응은 아이에게 안정애착을 형성하게 하며, 이는 이후 아이가 새롭고 낯선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줍니다. 더불어 영아기의 안정애착은 이후의 인지적 발달과 긍정적인 또래 관계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정서적 유대는 단순한 돌봄을 넘어 아이의 평생 발달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부모와 보호자는 아이의 신호에 민감하고 안정적으로 반응함으로써, 건강한 애착 형성과 미래의 정서적 안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