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07

우후죽순 우후죽순 개념 비가 온 후, 여기저기 솟는 죽순. 즉, 어떤 일이 짧은 기간 동안 많이 생겨남을 뜻한다. 요즘 보통 부정적으로 쓰일 때 사용된다. 예) Chat GPT로 인하여 가짜 정보을 담는 뉴스들이 우후죽순으로 쏟아진다. 한문풀이 雨後竹筍 雨: 비 우 後: 뒤 후 竹: 대나무 죽 筍: 죽순 순 우후죽순를 이용하여 예문을 만들어 댓글로 달아주세요. 직접써보면 기억이 더 오래 남습니다. 2023. 6. 12.
Interference (간섭) 공격측의 방해 공격팀이 수비수의 플레이를 방해할 때 예) 송구방해 수비측의 방해 투수가 던진 공을 치려고하는 타자를 방해할 때 아래의 영상에서는 타자가 스윙 할때 포수의 미트에 배트가 닿는 경우 타격을 방해함 https://youtu.be/A65gBY5GE2I?t=167 심판원의 방해 타자 주자가 1루에 닿기 전에 방해가 일어났을 때 관중의 방해 경기 장안에 들어와서 인프레이의 공에 닿았을 때 어떠한 방해든지 볼데드 선언 2023. 6. 12.
시인하다 시인 개념 어떤 내용이나 사실이 옳거나 그러하다고 인정하다. 예) 어떠한 사실을 시인했다. 한문풀이 是認 是: 옳을 시 認: 알 (알다) 인 2023. 5. 31.
속담 - 오얏나무 아래서 갓끈 고쳐 매지 마라 뜻 오해 받을 행동 하지 말아라 오얏나무는 자두나무를 의미 배우자와 2023 wbc 음주파문에 대해 이야기 나누다가 이 속담이 나왔습니다. 오해를 받을 행동은 하지 말았어야 했습니다. 2023. 5. 31.
왜 수학 선생님은 0 으로 나눌 수 없다고 하는 걸까? 왜 0으로 나눌 수 없는지, 2가 1이 되는걸 증명해보면서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x = 1이라고 가정하고 시작하겠습니다. x^2 -1 = x - 1 (x - 1)(x + 1) = (x - 1) 양쪽에 (x -1) 지울 수 있죠? ㅎㅎ (x + 1) = 1 위에 언급했듯이, x = 1이라고 가정했었는데요. x = 1을 넣으면, 2 = 1 이 되어버립니다. 2가 1과 같다면, 우리는 1 + 1 = 1, 2 + 1 = 1, 그리고 3 + 1 = 1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건 그 어떤 것을 더해도 항상 1이 되버리는 건데요. 말이 안돼죠? ㅎㅎ 왜 이렇게 되버렸는지, 눈치 채셨나요? 이유는 양쪽이 (x - 1)을 지우면 안됩니다. x = 1 이라고 가정을 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0으로 양쪽을 지운것과 마찬.. 2023. 5. 27.
Casio F-91W 시간 변경 메뉴얼 시간 변경 방법 1. 왼쪽 아래 버튼을 세번 누른다. 이 때 초가 깜빡 거린다. 2. 오른쪽 아래 버튼을 누르면 초가 0으로 바뀐다. 즉 리셋된다. 3. 왼쪽 윗 버튼을 누르면 깜빡이는 곳이 달라진다. 원하는 곳으로 깜빡임을 이동시키자. 4. 오른쪽 아래 버튼을 누르면 숫자가 증가된다. 5. 원하는 시간에 변경되었으면 왼쪽 아래 버튼을 눌러 변경모드에서 나간다. 기본적인 방법을 서술했고, 더 디테일하게 변경하려면 아래 매뉴얼을 참고 바란다. 출처 https://www.casio.com/content/dam/casio/global/support/manuals/watches/pdf/5/593/qw593_EN.pdf 2023.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