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콘솔에서 parent margin 영역을 확인해보면, 마진영역이 브라우저 꽉차게 나오는데 이 의미는 auto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마진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parent가 블럭요소이기 때문에 한줄을 다 빌렸다. 밑의 영역은 parent가 빌린 영역이 아니다.
마진을 auto값을 주면 빌린 영역을 사용 할 수 있다. margin-left: auto로 설정하면, margin 최대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컨텐츠가 오른쪽으로 정렬된다. 그래서 양쪽 모두 margin-left, right auto로 주면 가운데로 정렬됨
margin-top, bottom auto로 주면 상하까지 가운데로 정렬될거라 예상할 수 있지만 위에 언급했듯이 빌린영역이 없기 때문에 적용될 수 없다.
<div class="parents">
<div class="children">wow</div>
</div>
.parents {
width: 800px;
height: 800px;
background-color: orange;
}
.children {
width: 200px;
height: 200px;
background-color: orangered;
}
children 에서도 가운데 정렬하려면 width값과 margin auto값을 넣어줘야 한다.
width 값이 명시가 안되었다면, auto가 기본 값이며, auto의 의미는 상위 부모 크기 기준으로 가득 차기 때문에 가운데 정렬이라는 의미가 무색해진다.
.children {
margin: 0 auto;
width: 200px;
}
텍스트 요소를 가운데 정렬
block 요소에게 주되, block요소가 영향을 받지 않고 그 안에 있는 inline 요소에게 영향을 끼친다.
text-align: center;
https://www.youtube.com/watch?v=m4v3NRHxOJc
'IT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img 하단에 생기는 알 수 없는 빈 공간 (1) | 2024.04.19 |
---|---|
[css] 여러 div를 몽땅 가로 가운데 정렬 (0) | 2024.04.19 |
[css] height: 100% 의미 (0) | 2024.04.19 |
[webpack] externals 개념 및 사용 이유 (0) | 2024.04.13 |
[web] zero-runtime 이란? (0) | 2024.04.13 |